LOGO

돋보기

국제 화장품 규제 강화에 업계 대응책 마련 고민

  • (2023-04-06 16:24)

최근 중국, 미국 등이 화장품 안전관리규제를 강화하면서 해외 진출에 나선 업체들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NMPA)은 지난 323일 치약감독관리방법(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령 제71)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부터 중국에서 치약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의 관리 플랫폼에 제품 등록을 먼저 해야 한다.

또한
, 중국에서 치약에 처음으로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 원료는 치약 신 원료로 화장품 신 원료 관리에 관한 유관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방부, 착색 등 기능이 있는 치약 신 원료는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의 허가를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치약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제공해야 한다.

미국도
327자발적 화장품 등록 프로그램(VCRP)’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VCRP는 미국에서 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해 정보를 자발적으로 등록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번 규제 강화로 인해 앞으로 미국에서 화장품을 판매할 때는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 (MoCRA)’을 적용받아 허가를 받아야 할 전망이다.

이처럼 중국의 수출 규제 강화
, 미국의 화장품법 현대화 규정 제정 등 우리나라 화장품 주요 수출국의 규제가 강화되자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지난
328일 아모레퍼시픽에서 개최한 화장품 분야 업계 대표들과 간담회에서 식약처가 올해 추진하는 화장품 분야 핵심 브랜드사업인 도약!(JUMP-UP) K-코스메틱을 통해 업계 전문가와 지속해서 소통하고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겠다고 강조했다. ‘도약! K-코스메틱은 식약처와 업계·협회 전문가들로 4개 분과를 구성해 기업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 방안과 민간 주도 규제혁신 과제 발굴·추진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 원료 안전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독성시험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이 규제를 강화할 때 업체들이 이를 별도로 수집해 대응해야 하는 현실이다.

이에 최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화장품 원료 안전성과 위해 평가 데이터베이스
, 독성항목조회 기능을 갖춘 안전성 검토시스템’, 국가별 화장품 규제 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별 원료규제 DB시스템등을 강화해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해외 시장에서 화장품을 판매하는 직판업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 A업체 관계자는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 시장의 규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화장품 원료나 성분의 안전성 등은 제조사가 훨씬 전문적인 만큼 긴밀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밝혔다.

C
업체 관계자는 해외 시장은 상대적으로 강한 규제로 제품을 론칭할때마다 어려움을 겪는데 특히, 중국은 잦은 규제 변화로 기존 허가 등록된 원료에 대해 안전성 정보를 보완해야 하나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해외 담당자들이 세계 각국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민호 기자fmnews@fm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포토뉴스 더보기

해외뉴스 더보기

식약신문

사설/칼럼 더보기

다이렉트셀링

만평 더보기

업계동정 더보기

세모다 스튜디오

세모다 스튜디오 이곳을 클릭하면 더 많은 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날씨

booked.net
+27
°
C
+27°
+22°
서울특별시
목요일, 10
7일 예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