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기식 중고거래 허용?
규제 개선 앞세운 탁상행정 논란
최근 정부가 개인 간 재판매가 금지된 건강기능식품 재판매 허용을 검토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규제가 개선돼 건강기능식품 재판매가 허용될 경우에는 직접판매업계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 불가피할 전망...
2023.08.25
-
성장 둔화에 빠져드는 건강기능식품
지난해 판매실적 4조 1,378억…전년 대비 2.6% 성장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성장률이 한 자릿수에 그치며 시장 성장이 확연히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발표한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에 따르면, 2022년 건강기능식품 ...
2023.08.03
-
202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2조 8,050억 원
전년 대비 3.4% 증가…단백질 제품 생산실적 ↑
지난해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2조 8,050억 원으로 전년(2조 7,120억 원) 대비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임은경)은 7월 27일 ‘2022년 국내 식...
2023.07.27
-
신중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유산균 1위 ‘종근당건강’
임팩트피플스의 에이풀 4060세대 설문 조사
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가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 ‘에이풀(Aful)’을 통해 지난 4월 12일부터 4월 25일까지 40세 이상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장에는 약 100조 마...
2023.07.10
-
산업용 대마 시장 확산에 업체들 주목
의약품, 화장품 영역 확장…규제에 갈 길 먼 건기식
그동안 국내에서는 희귀 질환 치료 목적 의약품으로만 사용이 가능했던 대마가 영역을 확장하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6년 ‘대마관리법’과 2000년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대마를 규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대마를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4호에 따르면, 규제 대상 대마는 ...
2023.07.07
-
정관장, ‘JUNG KWAN JANG’으로 로고 리뉴얼
글로벌 건강식품 솔루션 브랜드 재탄생
KGC인삼공사는 국내와 해외에서 각기 사용되던 ‘정관장’ 브랜드를 ‘JUNG KWAN JANG’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로고, 제품 패키지 등의 디자인이 변경되며 ‘글로벌 건강...
2023.07.03
-
농심에 이어 오뚜기도 라면 가격 인하
스낵면, 참깨라면, 진짬뽕 등 총 15개 제품
오뚜기가 7월 1일부로 라면류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한다고 6월 28일 밝혔다. 오뚜기는 “이번 가격 인하는 서민 식품인 라면 가격 인하를 통해 물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함이다”라고 설명했다. 대형마트...
2023.06.28
-
시장 성장의 새로운 동력? 찻잔 속 태풍?
‘맞춤형’ 성장세 더딘 이유는? (下)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았던 ‘맞춤형’ 시장이 예상보다 더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형성된 시장도 당초 예상과는 다른 모습이다. 소분·혼합이 자유로워지면서 오프라인, 대면 ...
2023.06.22
-
스피루리나 추출물 기억력 개선 기능성 인정
개별인정형 원료로 식약처 인증 받아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해양미세조류인 ‘스피루리나’에서 추출한 기억력 개선 소재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형 원료로 인증받았다고 6월 14일 밝혔다. 그동안 기억력 개선 소재로 식약처에서 인증...
2023.06.14
-
건강기능식품 베껴야 산다?
경기 침체에 카피캣 제품 쏟아져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올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세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업체들도 새로운 기능성 원료보다는 이미 시장에서 인기 있는 원료나 브랜드에 편승한 제품을 출시하는 경향...
2023.06.01
TOP 10